약 이야기/건강 정보 13

항암효과 비타민 3편. 비타민E, D, 엽산, 리보플라빈

항암효과를 가지는 비타민E의 기전과 함유음식을 정리해보았습니다. 정리 내용은 역학조사 및 동물실험에 근거한 자료입니다. 1. 비타민E 항암효과 토로페롤, 토코트리에놀을 모두 포함하는 화합물을 의미하는 비타민E는 비타민 A나 비타민C에 비해서 많이 연구되지는 않아 항암효과가 명확하게 확인되지 않았다. 하지만 역학조사에 의하면 비타민E가 유방암, 폐암에 억제효과가 있다고 알려져있다. 동물실험으로 쥐에 알파 토코페롤을 투여했을때 신경배아세포종에 대해 항암효과를 보였으나, 사람의 자궁경부암과 난소암에 효과가 있는지는 명확하지 않다. 세포실험에서는 색소세포종(멜라노마, melanoma)의 세포 성장을 억제하고 암조직의 성장을 억제한다는 연구결과가 있다. 비타민E가 활성산소, 산소라디칼을 제거할 수 있으므로 산소라..

항암효과 비타민 2편. 비타민C

항암효과를 가지는 비타민 C의 기전과 함유 음식을 정리해 보았습니다. 정리 내용은 역학조사 및 동물실험에 근거한 자료입니다. 1. 비타민C 항암효과 역학조사 및 동물실험에서 비타민C는 식도암과 위암을 억제한다고 알려져 있다. 위암의 경우, 비타민C가 소화기 내에서 nitrate(NO3-)가 nitrite(NO2-)로 환원되는 것을 방지하여 amine과 nitrite가 반응하여 생성되는 발암성 물질인 니트로소아민(nitrosoamine)이나 니트로소아마이드(nitrosamide)의 형성을 억제하는 역할을 한다. 참고로 아질산나트륨(NaNO2)은 섭취 후 nitrite(NO2-)를 방출하는데 햄, 소시지, 훈제고기 등의 붉은 색상을 나타내는 발색제로 많이 사용되며, 위에서 언급된 기전과 같이 체내에서 발암물..

항암효과 비타민 1편. 비타민A

항암효과를 가지는 비타민의 종류와 기전과 함유 음식을 정리해 보겠습니다. (아래 정리 내용은 역학조사 및 동물실험에 근거한 자료입니다.) 1. 비타민 A 항암효과 비타민A(Retinol, 레티놀)는 비타민A 그 자체뿐만 아니라 합성 레티노이스, 천연 카로테노이드 (pro-vitamin A)로 나눌 수 있다. 이중 항암 효과를 갖는 물질은 β-carotene (베타카로틴)으로 잘 알려져 있지만 다른 비타민 A류도 암에 효과적이다. 암세포의 특징은 정상세포처럼 분화과정을 거친 후 성장하여, 죽지 않고 분화기능을 잃어 증식만 하므로 암세포의 분화유도는 암세포를 제거하는 주요한 방법 중 하나이다. 비타민 A가 바로 분화를 유도시킬 수 있는 물질이므로 비타민A가 암 예방 및 치료효과를 갖는 것으로 많은 연구가 되..

식중독 3편. 식물성 식중독

식중독 글 3편. 식물을 섭취하고 발생할 수 있는 식중독을 정리해 보겠습니다. - 목차- 1. 독버섯 2. 감자 독 3. 매실 독 (청산 배당체) 4. 고사리 독 5. 소철 독 1. 독버섯 자연독 식중독 중에 1위는 바로 이 독버섯에 의한 식중독이다. 사망자 수 비율도 높으며, 주로 9~10월 가을에 많아 발생한다. - Amanitatoxin : 독우산버섯, 알광대버섯, 광대버섯에 함유되어 있어 독버섯의 유독성분 중 가장 맹독성이다. 세포를 파괴하는 치명적인 독성으로, 복통, 강직, 설사를 나타내고 수일 내 사망한다. - Muscarine : 땀버섯, 광대버섯, 마귀버섯에 함유되어 있고, 부교감신경을 흥분시켜 식후 1.5~2시간에 각종 분비 항진, 동공축소, 호흡곤란, 방광 수축, 경련, 혼수로 사망한다..

식중독 2편. 동물성 독, 어류, 패류 식중독

지난번 글에 이어 식중독과 관련된 두 번째 글. 이번에 정리할 내용은 자연독 식중독이다. -목차- 1. 자연독 식중독이란? 2. 복어 독 3. 시구아테라(ciguatera) 독 4. 돗돔 독 5. 패류 독 1. 자연독 식중독이란? 자연에 있는 동물, 식물 중 특정 종류는 특정 부위에 사람에게 독성을 나타내는 유기화합물을 가진다. 이러한 동식물을 섭취하였을 때 급성 또는 아급성 중독의 원인이 되는 것을 자연독이라고 한다. 유해한 자연독 또는 자연독소를 잘못 섭취하거나 정상적인 조리방법에 따르지 않고 섭취할 경우 식중독이 발생하며, 이러한 식중독을 자연독 식중독이라고 한다. 2. 복어 독 복어는 독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유명하다. 복어의 종류에 따라서 독성의 정도가 차이가 있고, 계절에 따라 변하기 때문에 ..

식중독 1편. 원인별 증상과 예방, 치료 방법

올여름은 유난히 덥다고 합니다. 5월 초, 갑자기 기온이 오르면서 식중독을 주의해야 할 시기입니다. 1. 식중독 발생 현황과 유형 2. 식중독 원인별 증상, 예상 방법 3. 식중독 치료 방법 1. 식중독 발생 현황과 유형 우선, 식중독 발생 현황과 유형을 알아봅시다. 식약처의 발표자료에 따르면, 5년 평균 결과를 종합하였을 때, 식중독 발생 환자의 39%는 여름철인 6월~8월에 발생한다고 한다. 식중독이 주로 발생하는 장소에 대한 통계자료는 아래와 같습니다. 장소별로 식중독이 많이 발생하는 곳은 음식점이 61%로 1위, 학교 급식이 15%로 2위였습니다. 여름철 시설별 식중독 발생 환자수는 학교 급식이 46%로 1위, 음식점이 22%로 2위였습니다. 급식의 경우 집단 급식 위탁업체가 대부분 영세하여 위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