약 이야기/코로나 (COVID-19)

[먹는 코로나 치료제 정보] 몰누피라비르 (molnupiravir)_머크 (merck) 정보와 특허 보유 회사

JJackson 2021. 11. 3. 07:29
반응형

이번 글에서는 머크 (merck)와 리지백 바이오 (ridgeback biotherapeutics)가 개발 중인
경구 코로나 치료제에 대해서 알아보자.

1. molnupiravir 관련 최신 기사 및 정보를 얻을 수 있는 링크
우선 본격적으로 현재까지 공개된 정보를 정리하기 이전에,
머크가 10월 11일 FDA에 긴급사용신청을 하였으므로 아직까지 많은 정보가 공개되진 않았다. 따라서 이 글을 작성한 이후로 앞으로 새로운 정보가 많이 공개가 될 예정으로, 최신 기사 및 정보를 얻을 수 있는 링크를 정리하였다.

반응형

1-1. 머크 홈페이지 내 관련 게시물

 

You searched for molnupiravir - Merck.com

Molnupiravir media Iibrary Our investigational COVID-19 antiviral Assets intended for use by media professionals. These images are downloadable for non-commercial use and for purposes such as news reporting or research. The images may not be modified and m

www.merck.com

1-2. FDA 홈페이지 내 관련 게시물

 

Press Announcements

FDA Press Announcements

www.fda.gov


위 두 사이트 모두 영어여서 읽기 귀찮다면 구글 번역기나 크롬 번역으로 보면 편하다.

2. 의약품 정보 및 작용기전
- 성분명: molnupiravir (몰누피라비르)
- 개발코드: EIDD-2801, MK-4482 (신약 개발 시 몰누피라비르라는 이름이 붙기 전 사용한 코드번호이다)
- 제형: 경질캡슐제
- 용법용량: 1회 800mg (200mg x 4 캡슐), 1일 2회, 5일 복용
(임상 3상이 위 기준으로 진행되었고, 한국 MSD 관계자에 따르면 동일 기준으로 FDA 긴급사용신청이 진행되었다고 한다)
- 약물군: RNA polyermease inhibitor으로서 유사한 약물로는 코로나 초기 유명했던 렘데시비르 (Remdesivir)가 있다.

- 작용기전
RNA polymerase inhibitor로서 바이러스의 복제를 억제한다.

위 그림과 같이 prodrug의 형태로서 혈액 및 세포 내에서 대사를 통해 활성형 (active form)이 형성되고 활성형이 바이러스의 복제를 억제한다.

- 약물 흡수, 분포, 대사, 배설 (ADME)
아래 내용은 임상 1상에서 진행된 용량별 혈중농도 그래프이다.
위에서 FDA 긴급사용신청이 800mg BID (1일 2회)라고 하였으니 파란색 선을 보면 된다.

Antimicrobial agents and chemotherapy  65.5 (2021): e02428-20.

보시다시피 복용 시 빠르게 흡수되고, 빠르게 배설된다. 복용 후 10시간 정도면 혈중농도가 바닥이 나오기 때문에 약효 유지를 위해 1일 2회 복용하게 임상이 진행한 것으로 보인다.
임상결과 심각한 부작용도 없고, 부작용이 발생하더라도 빠르게 배설되므로 복용을 중단하면 회복도 빠를 것으로 보인다.
위 논문은 공개된 상태로 아래 링크로 들어가면 볼 수 있다.

 

Human Safety, Tolerability, and Pharmacokinetics of Molnupiravir, a Novel Broad-Spectrum Oral Antiviral Agent with Activity agai

Molnupiravir (EIDD-2801/MK-4482), the prodrug of the active antiviral ribonucleoside analog β-d-N4-hydroxycytidine (NHC; EIDD-1931), has activity against a number of RNA viruses, including severe acute respiratory syndrome coronavirus 2 (SARS-CoV-2), ...

journals.asm.org


참고로 기형아를 유발한다는 소문이 도는데 동물실험 결과 기형아 유발은 없었다.

 

먹는 코로나 치료제가 기형아 유발? "오해입니다"

[서울=뉴시스] 송연주 기자 = "임상시험 단계에서 임신부나 임신을 계획 중인 여성을 배제하는 건 매우 교과서적이고 일반적인 일이다

www.newsis.com


3. 개발 과정
개발 과정은 미국 조지아주 에모리 대학 (Emory university)에서 최초 개발하였고, 물질특허의 특허권은 아직 에모리 대학에서 보유하고 있다. (상세한 특허 내용은 아래에서 언급하겠다)
코로나가 터지고 작년 3월경 리지백 바이오 (ridgeback biotherapeutics)가 우선 제휴를 하고, 이후 머크 (merck)와도 제휴하여 개발하였다.

4. 특허 (+ 관련주)
몰누피라비르에 대한 물질특허는 38년도까지 유지되지만, 최근 저소득 105개 국가에 대해 특허를 풀었다.

 

MSD, 먹는 코로나 치료제 105개국 공급한다

사실 앞에 겸손한 민영 종합 뉴스통신사 뉴스1

www.news1.kr

현재 물질특허를 풀었고, 인도의 제약회사에서는 실제로 원료를 생산한다고 한다.

참고로 몰누피라비르에 대한 물질특허는 아래와 같다. (미국 내 특허 번호는 US11147826이다)

아래는 인도, 중국의 몇몇 제약회사에서 합성방법에 대한 특허를 냈다.
Hanzhou chemical CN112608357 (20.12.21 출원)
Nanjing hauguan biotech. CN112552288 (21.02.19 출원)
Divis laboratory IN202141018775 (21.04.23 출원)

위 이름은 특허 내에 기입된 특허권자의 이름을 적어서 실제 회사명칭은 좀 다를 수 있다.
몰누피라비 르가 FDA 승인을 받는다면 위 회사 주가들이 반짝 튀지 않을까?
인도 divis는 이미 원료를 생산해서 제약회사에 공급한다는 얘기가 들리고 나머지 중국회사는 잘 모르겠다
하지만 최대 수혜자는 머크랑 리지백바이오일듯

 

+추가

영국 당국의 허가정보 공개자료를 아래 글에 정리하였습니다.

 

몰누피라비르 (molnupiravir)_머크 (merck) 영국 허가정보

지난번 글에서 머크의 몰누피라비르의 정보를 정리했었다. [경구 코로나 치료제 정보] 몰누피라비르 (molnupiravir)_머크 (merck) 정보와 특허 보유 회사 이번 글에서는 머크 (merck)와 리지백 바이오 (ri

jjack-son.tistory.com


몰 누피 라비 르 추가로 필요한 정보는 댓글 남겨주세요!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