약 이야기 43

보건통계-출산율, 사망률, 질병감염 지표 계산

1. 보건통계의 종류보건 통계 목적으로 가진 자료의 종류와 그 출처는 아래와 같다. 1) 법적기록 법령에 의해서 수집되는 출생, 사망, 인구이동, 총인구, 법정전염병 등에 관한 기록이다. 이런 법적 기록으로는 총인구조사, 인구동태조사, 법정전염병 등의 보고에서 얻어지는 기록들을 들 수 있다. 2) 보건의료기록 병, 의원 및 보건소 등의 각종 의무기록이나 각종 보험과 관련된 상병기록, 그리고 학교, 군대, 산업체 및 형무소 등의 건강기록 모두가 중요한 보건통계자료로 사용된다. 이들 자료는 특정인구가 대상이 되는 것이 특징이다. 3) 특별조사기록 법정기록이나 보건기록으로 부족한 부분에 대해서는 특별조사를 실시해서 필요한 보건통계자료를 얻는다. 예를 들면 건강조사, 영양조사, 의료기관 이용 실태조사 등이 있다..

비타민D 결핍, 식전 식후, 치매 예방 효과

-목차- 1. 우리나라 비타민D 현황 2. 비타민D 효능 3. 비타민D 섭취 방법 4. 비타민D의 치매 예방 효과 1. 비타민D 섭취 및 결핍 현황 우리나라 사람들은 상대적으로 야외활동과 햇빛을 싫어한다. 피부가 탄다고 햇빛을 싫어하고, 해외 해수욕장을 가보면 래시가드를 입은 사람은 대부분 한국사람이지 않는가? 특히 코로나 사태로 인해 야외활동이 줄면서 비타민D 결핍이 심각한 수준이라고 한다. 2022년 4월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의 영양결핍 환자 수에 대한 자료이다. 가장 상위 비타민D 결핍환자가 2017년 이후 연평균 30% 수준으로 급격하게 증가 수세이고, 2021년의 비타민D 결핍 환자는 25만 명에 이른다. 2021년도 우리나라 인구가 5174만 명이니 우리나라 인구 약 0.5%에 해당하는 수치이다...

자일리톨 충치 예방 원리, 섭취량, 장에 악영향

이번 글에서는 자일리톨의 효과와 장 건강에 악영향을 준다는 내용에 대해서 정리해 보겠습니다. 1. 충치가 생기는 이유 2. 자일리톨 충치 예방 원리 3. 자일리톨 섭취량 4. 자일리톨이 장에 악영향? 1. 충치가 생기는 이유 자일리톨이 충치가 생기는 것을 막아주는 이유를 설명하기 전에, 충치가 생기는 이유에 대해서 우선 봅시다. 뮤탄스 연쇄구균(Streptococcus Mutans)라는 충치균은 음식물에 함유된 당분을 먹고 삽니다. 이 뮤탄스 균이 음식 속의 당분을 먹고 끈적끈적한 물질인 플라그를 생성시킵니다. 보통 음식을 먹고 나서 이와 잇몸 사이에 띠와 같이 얇게 둘러진 물질이 플라그입니다. 플라그 속에서 뮤탄스 연쇄구균이 더욱더 증식하면서 당분을 먹고 내뿜는 산성물질이 치아의 에나멜질에 있던 칼슘과..

비타민C 파괴 온도, 시간

건강기능식품, 의약품 이외에도 비타민 샤워기, 화장품, 음료 등 많은 제품에서 비타민C를 많이 활용한다. 하지만 비타민C은 특히 물(수분)이 있는 조건에서 쉽고 빠르게 분해된다. 당연히 제품이 생산될때에는 비타민C가 들어있겠지만, 실제 소비자들이 사용하는 시점에도 비타민C가 분해되지 않고 효과를 낼 수 있는 양이 남아있을까? 의문이 듭니다. 이번 글에서는 여러가지 논문에서 비타민C가 분해되는 조건과 분해 속도에 대한 결과를 정리해 보겠습니다. 논문 1. Glutathione stabilizes ascorbic acid in aqueous solution 비타민C를 물에 녹인 용액 (0.5mg/mL)으로 빛이 안 통하는 차광조건, 냉장보관 (5도)에서 1000시간 (약 42일) 간 보관했을 때 비타민C의 ..

다이어트약 부작용 고혈압 조심

이번 글에서는 비만치료제 선택 시 꼭 알아야 할 '혈압을 높이는 다이어트약과 혈압을 낮추는 다이어트약' 에 대해서 정리해 보겠습니다. 본인이 조금이라도 혈압이 높은 편이다. 혹은 가족력이 있다는 분들은 살 빼는 약을 선택할 때 꼭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목차- 1. 비만과 고혈압 2. 혈압을 높이는 다이어트 약 3. 혈압을 높이지 않는 다이어트 약 4. 결론 1. 비만과 고혈압 2018년 기준, 대한민국의 비만율은 38.5%에 달하듯 많은 사람들이 비만에 해당합니다. 비만이 있으면 고혈압, 당뇨, 고지혈증에 걸리기도 쉽다고 합니다. 실제로 65세 이상 비만 환자의 경우, 고혈압, 당뇨, 고지혈증을 73.9%, 29.3%, 59.6%로 동반하고 있습니다. 특히 비만환자가 고혈압을 동반하는 경우가 73.9%..

전립선 비대증 약 치료제 (왜 병원 안감?)

이번 글에서는 전립선 비대증 약, 치료제와 꼭 병원을 가야 하는 이유를 알려드리겠습니다. 1. 전립선 비대증 발병 현황 2. 전립선 비대증 오해 3. 치료 방법 4. 병원에 가야하는 이유1. 전립선 비대증 발병 현황위 전립선 비대증 발병 현황을 보시면 50~70대 남성 61.2%가 전립선비대증에 해당합니다. 환자비율은 50대 54.3%, 60대 67.4%, 70대 70.9%로 나이가 들수록 환자 비율이 높아집니다. 즉, 대한민국 남성이라면 50대가 넘어가면 절반 이상이 전립선 비대증을 맞이한다고 보시면 됩니다. 따라서 남자라면 누구나 이 글을 끝까지 읽으시는 게 좋습니다ㅋㅋ2. 전립선 비대증 오해우선, 많은 사람들이 잘못 인식하는 부분부터 바로 잡고 가겠습니다. 대부분 전립선 비대증이 전립선 암으로 발전..